sni 차단 우회 firefox에서 사이트 접속 하는 방법 이 대한민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 특정 웹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SNI는 HTTPS 연결을 설정할 때 서버의 호스트 이름을 지정하는 기술로, 이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또는 토렌트 사이트 에 대한 접속을 차단합니다. 하지만 sni 차단 우회 firefox에서 사이트 접속 하는 방법 에 차단을 우회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있으며, 특히 Firefox 브라우저를 통해 이를 우회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SNI의 작동 원리
-
- 클라이언트 요청: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HTTPS 사이트에 접속할 때, 브라우저는 해당 서버의 SSL/TLS 인증서를 요청합니다.
- 서버 확인: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도메인에 적합한 인증서를 선택하여 전달합니다. 이 과정에서 SNI 확장을 통해 브라우저가 접속하고자 하는 도메인 이름을 서버에 전달합니다.
- 도메인 기반 다중 호스팅: SNI 덕분에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SSL 인증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IP 주소에서 여러 도메인을 호스팅할 때, SNI를 사용하면 각 도메인에 적합한 인증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2.SNI의 중요성
과거에는 하나의 IP 주소에 하나의 SSL 인증서만 설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여러 도메인을 운영하려면 각 도메인마다 별도의 IP 주소가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SNI(서버 이름 표시)의 도입으로 동일한 IP 주소에서 여러 도메인을 구분하여 각기 다른 인증서를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서버 운영이 더 효율적이고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3.SNI 차단
한국을 포함한 몇몇 국가에서는 특정 웹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SNI 정보를 활용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할 때 전송되는 SNI 정보는 암호화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중간에서 이를 감시하여 특정 도메인 이름을 포함한 요청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이 바로 SNI 차단입니다. SNI 차단은 특히 HTTPS 트래픽을 차단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이를 우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4.DNS over HTTPS(DoH) 설정
Firefox는 기본적으로 DoH(DNS over HTTPS)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 기능은 DNS 쿼리를 암호화하여 ISP나 중간 네트워크에서 이를 확인할 수 없도록 보호합니다. DoH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Firefox 브라우저를 실행한 후 주소창에 about:preferences를 입력하세요.
- 스크롤을 내려 “네트워크 설정” 항목을 찾아보세요.
- “설정(Settings…)” 버튼을 선택합니다.
- 팝업 창의 하단에서 “DNS over HTTPS 사용(Enable DNS over HTTPS)” 옵션을 찾아 체크합니다.
- 기본적으로 “Cloudflare”가 설정되어 있지만, “NextDNS”와 같은 다른 제공자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 “확인(OK)” 버튼을 눌러 설정을 저장하세요.
-
이렇게 설정하면 DNS 요청이 HTTPS로 암호화되어 전송되어 SNI 차단을 피할 수 있습니다.
5.Encrypted SNI (ESNI) 또는 ECH(Encrypted Client Hello) 사용
Firefox는 ESNI(Encrypted SNI) 기능을 지원합니다. ESNI는 SNI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차단을 어렵게 만듭니다. 최근에는 ECH(Encrypted Client Hello)라는 개선된 표준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기능도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
-
- 주소창에 about:config를 입력한 후,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면 “위험을 감수하고 진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 검색창에 “network.security.esni.enabled”를 입력하세요.
- 해당 항목이 “true”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만약 “false”로 되어 있다면 더블 클릭하여 “true”로 변경해 주세요.
- 그 후, network.dns.echconfig.enabled와 network.dns.use_https_rr_as_altsvc 항목도 동일한 방법으로 “true”로 설정합니다.
-
이 설정을 통해 ESNI/ECH 기능이 활성화되어 추가적인 차단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
6.Proxy 또는 VPN 사용
위의 설정만으로도 많은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지만, 여전히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VPN이나 프록시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VPN은 사용자의 인터넷 트래픽을 암호화된 터널을 통해 다른 지역의 서버로 우회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무료 VPN도 존재하지만, 보안성과 속도를 고려할 때 유료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록시 서버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Firefox에서 about:preferences를 입력한 후, “네트워크 설정(Network Settings)”을 선택합니다.
- “설정(Settings…)” 버튼을 클릭한 다음, “수동 프록시 설정(Manual proxy configuration)”을 선택합니다.
- 사용할 프록시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입력하세요.
- “모든 프로토콜에 이 프록시 서버 사용(Use this proxy server for all protocols)” 옵션을 선택한 후 “확인(OK)” 버튼을 클릭합니다.
-
프록시 서버나 VPN을 이용하면 모든 트래픽이 우회되기 때문에 SNI 차단도 자동으로 회피됩니다.
7.HTTPS를 통한 프록시 또는 도메인 프론팅
도메인 프론팅은 특정 차단된 도메인에 대한 요청을 다른 도메인으로 위장하여 전송한 후, 실제 목적지로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이 방식은 고급 기술을 요구하고 설정이 복잡하지만, 매우 효과적인 우회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